[캐릭터와 스토리] 심리학과 캐릭터 1-1: 카를 융의 집단적 무의식과 원형적 캐릭터들
우리는 인간이 영웅 신화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아직 모르던 시대 부터 영웅 신화는 "생겨났다”고 추측할 수 있다. ... 영웅상은 원형으로서 태고 적부터 존재해 온 것이다.융의 『인간과 무의식의 상징』 73p. (이부영 저 "C.G. 융과 신화"에서 재인용) 앞서 린 슈미트의 『45개의 마스터 캐릭터: 원형적 캐릭터를 만들기 위한 신화적 모델들』을 바탕으로 주로 그리스-로마 신화를 기원으로 하는 캐릭터 원형을 분석했습니다. 예를 들어, 남성 신-원형 글에서 혈기왕성한 투신 아레스는 든든한 '수호자'이지만 때로는 물불 안가리는 '결투가'가로서 영화나 애니메이션의 캐릭터에 원형으로서 반영될 수 있었죠. 여성 신-원형 글에서 아프로디테도 마찬가지로 평화와 사랑을 추구하는 '뮤즈'로도 매력을 무기로 남자를 파멸..
2025.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