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2. 8. 23:05ㆍ컨텐츠 분석가
우리는 인간이 영웅 신화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아직 모르던 시대 부터 영웅 신화는 "생겨났다”고 추측할 수 있다. ... 영웅상은 원형으로서 태고 적부터 존재해 온 것이다.
융의 『인간과 무의식의 상징』 73p. (이부영 저 "C.G. 융과 신화"에서 재인용)
앞서 린 슈미트의 『45개의 마스터 캐릭터: 원형적 캐릭터를 만들기 위한 신화적 모델들』을 바탕으로 주로 그리스-로마 신화를 기원으로 하는 캐릭터 원형을 분석했습니다. 예를 들어, 남성 신-원형 글에서 혈기왕성한 투신 아레스는 든든한 '수호자'이지만 때로는 물불 안가리는 '결투가'가로서 영화나 애니메이션의 캐릭터에 원형으로서 반영될 수 있었죠. 여성 신-원형 글에서 아프로디테도 마찬가지로 평화와 사랑을 추구하는 '뮤즈'로도 매력을 무기로 남자를 파멸시키는 '팜므파탈'로도 등장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같은 원형(Archetype)은 심리학자 카를 융(Carl Gustav Jung)의 원형 이론에서도 나타납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융의 원형 이론이 영화, 애니메이션 속 캐릭터 형성에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탐구하고, 우리가 사랑하는 이야기들이 왜 자연스럽게 공감을 불러일으키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인간의 깊은 심리 구조와 신화적 캐릭터의 연결고리를 이해하면, 우리는 더 흥미롭고 몰입도 높은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칼 융의 원형(archetype) 이론은 지금까지 알아본 신화적 원형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뿐 아니라 캐릭터 구축에서 가장 실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개념입니다. 융은 인류가 공통으로 가진 무의식적 기억을 ‘집단적 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이라고 정의하며, 이를 바탕으로 스토리텔링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전형적 캐릭터 유형, 즉 원형(archetypes)을 제시했죠.
이번 글에서는 Indick의 분석을 기반으로 칼 융의 집단적 무의식 이론과 원형적 캐릭터들이 어떻게 현대 스토리텔링에서 활용될 수 있는지 탐구할 것입니다. 특히, 융이 제시한 주요 원형(영웅, 현자, 순수한 자, 광대 등)이 영화와 애니메이션 속에서 어떻게 변형되고 확장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기존에 다루었던 슈미트의 캐릭터 분석과 연결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해석할 예정입니다.
심리학을 활용한 캐릭터 분석이 어떻게 보다 강렬한 스토리와 감정적인 공감을 이끌어내는지를 함께 탐구해 보겠습니다!
Ch1 프로이트와 융의 차이점: 현실주의자 vs. 이상주의자
먼저 융의 심리학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기 위해서 프로이트의 심리학과 비교해보기로 하겠습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여러 개념들이 우리에게 비교적 친숙하기도 하고, 다음 포스팅에서 프로이트에 대해 다루기도 할테니까요!
마침 두 심리학자의 이론은 여러 면에서 상당히 대비되기도 합니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무의식이 억압된 본능과 사회적 금기의 집합체라고 보았습니다. 그는 성적 욕망(리비도)이 인간 행동의 주요 동력이라고 주장하며, 신경증(neurosis)과 같은 정신적 문제는 억압된 욕망이 무의식에서 표출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반면, 융은 무의식이 단순히 억압된 욕망의 저장소가 아니라, 인류 전체가 공유하는 집단적 지혜의 원천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무의식이 개인적 경험을 넘어서 보편적인 심리적 원형(archetype)을 포함하며, 신화, 종교, 예술 등의 형태로 표현된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프로이트와 융의 차이점은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프로이트 | 융 | |
무의식(Unconscious) | 억압된 욕망과 사회적 금기 | 인류가 공유하는 집단적 무의식 |
인간 본성 | 본능적이고 충동적인 존재 | 영적이고 자기실현을 추구하는 존재 |
심리적 문제의 원인 | 억압된 성적 욕망과 트라우마 | 원형적 요소의 조화 부족 |
연구 초점 | 개인 무의식(Personal Unconscious) | 집단 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 |
Ch2 집단적 무의식과 원형: 신화로 발현된 인류의 경험
"모든 사람이 성장하고 사회에 적응하면서, 정체성 위기에 직면한다. 전설, 신화, 문학, 예술, 그리고 영화에서 표현되는 원형은 이러한 보편적인 문제를 재현하고, 집단무의식은 무의식적 차원에서 이런 원형을 공유하고 이해하는 단지 기본적인 인간적 '성향(predisposition)'이다.
윌리엄 인딕의 『시나리오 작가를 위한 심리학』 (유지나 번역) 177p. 융의 이론에 대한 설명. 강조 표시는 필자가.
원형과 관련해 융의 심리학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봅시다.
우리는 뒤의 챕터3에서 '탐험가, 마법사, 지배자, 영웅' 등 융의 이론에 나오는 12가지의 원형에 대해 알아볼 것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원형들을 결코 융의 상상 속에서만 만들어진 것도 아니었고 단지 이론에 그치지도 않았습니다. 융은 원형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신화, 민담, 전통 종교를 접하며 반복되는 패턴을 분석했을 뿐만 아니라, 당대의 정신과 의사로서 임상에서 다양한 이들의 꿈과 경험담을 모았고 또한 환자들을 이해하고 상담하는데 원형 이론을 이용했습니다.
융은 인간에게 태어나면서부터 지닌 심리적 구조적 틀인 성향(Predisposition)이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이 인류 모두의 '심리적 경향'에 의해 인간은 무언가를 경험할 때 단순히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경험에 그치지 않고 보편적인 방식으로 사고하고 반응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를 인간 모두의 차원에서 보면 집단적 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이라고 할 수 있지요. 이는 개인이 직접 경험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인류가 공통적으로 가지는 심리적 패턴과 이미지를 의미합니다. 그가 연구했던 임상의 경험과 신화, 전설, 문학, 예술, 영화 등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공통된 캐릭터 유형과 스토리 패턴이 그 존재를 증명한다고 보았죠.
그리고 이러한 반복적인 패턴을 구체화한 것을 원형(archetypes)이라고 하며, 원형은 공통적인 인간 경험 및 욕구와 두려움을 상징적으로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모든 문화권에서 "어머니"라는 존재는 nurturing(양육), 보호, 사랑을 상징하며, 이는 '어머니 원형'이자 뒤에서 살펴볼 '양육자 원형'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부모의 욕구 외에도 성적 욕구, 사랑과 개인적 성취에 대한 욕구, 영적 치유와 다른 사람들과 연결되고자 하는 욕구 등이 있죠. 우리가 이전 포스팅에서 보았던 수천년 전 신화 속 올림포스 신들이 원형으로써 현대의 사람이나 캐릭터의 성격을 설명하는 데 쓰일 수 있을 것도 그 연장선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원형적 캐릭터와 스토리는 현대 영화와 문학 속에서도 여전히 강한 공감과 몰입을 이끌어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Ch3 신화부터 영화까지 반복되는 융의 12원형
I 업적 추구형(Leave Legacy)
1. 무법자 (The Rebel, The Outlaw)
- 좌우명: "규칙은 깨라고 있는 것이다"
- 핵심 욕망: 복수 또는 혁명
- 목표: 잘못된 것을 전복하는 것
- 가장 큰 두려움: 무력하거나 무능해지는 것
- 전략: 충격을 주거나 파괴하거나 기존 질서를 뒤집는 것
- 약점: 극단적인 행동으로 범죄자가 될 위험
- 재능: 파격성, 급진적 자유
- 다른 이름: 반역자, 혁명가, 야성적인 자, 아웃사이더, 개혁가
- 예시 캐릭터: 할리 퀸 (The Suicide Squad, 2021)
⚬ 체제를 거부하고 자유를 찾으려는 빌런 캐릭터로, 기존의 규칙을 깨고 독립적인 존재로 자리 잡는다.
⚬ 혼란을 통해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 가지만, 때때로 목숨조차 위험한 경계선을 넘기도 한다.
2. 마법사 (The Magician)
- 좌우명: "나는 기적을 만든다"
- 핵심 욕망: 우주의 근본 법칙을 이해하는 것
- 목표: 꿈을 실현하는 것
- 가장 큰 두려움: 의도치 않은 부정적 결과
- 전략: 비전을 개발하고 그것에 따라 살아가기
- 약점: 조작적인 성향으로 변질될 가능성
- 재능: 상생(win-win) 해결책을 찾는 능력
- 다른 이름: 비전가, 촉매자, 발명가, 카리스마적 리더, 주술사, 치료사, 연금술사
- 예시 캐릭터: 닥터 스트레인지 (Doctor Strange in the Multiverse of Madness, 2022)
⚬ 닥터 스트레인지는 우주의 법칙을 이해하고 현실을 변화시키는 능력을 가진 마법사이다.
⚬ 항상 예기치 않은 결과가 일어날 것을 두려워하고 주의하면서도, 강력한 힘을 활용해 꿈을 실현하려는 모습이 마법사 원형과 부합한다.
3. 영웅 (The Hero)
- 좌우명: "의지가 있는 곳에 길이 있다"
- 핵심 욕망: 용기 있는 행동을 통해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는 것
- 목표: 전문적 숙련을 통해 세상을 개선하는 것
- 가장 큰 두려움: 나약함, 취약함, 겁쟁이로 보이는 것
- 전략: 가능한 한 강하고 유능해지는 것
- 약점: 오만함, 끊임없이 새로운 도전을 찾아 헤매는 것
- 재능: 용기와 능숙함
- 다른 이름: 전사, 구원자, 수호자, 슈퍼히어로, 군인, 용을 무찌르는 자, 승리자, 팀플레이어
- 예시 캐릭터: 마일즈 모랄레스 (Spider-Man: Across the Spider-Verse, 2023)
⚬ 마일즈는 자신의 정체성과 능력을 증명하기 위해 끊임없이 도전하는 인물이다.
⚬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며 강인한 용기와 기술을 통해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려고 노력한다.
II 관계 지향형(Purse Connection)
4. 사랑꾼형 (The Lover)
- 좌우명: "너만이 나의 전부"
- 핵심 욕망: 친밀함과 경험
- 목표: 사랑하는 사람, 일, 환경과 깊은 관계를 맺는 것
- 가장 큰 두려움: 외로움, 관심을 받지 못하는 것, 사랑받지 못하는 것
- 전략: 신체적·감정적으로 더욱 매력적인 사람이 되는 것
- 약점: 타인을 만족시키려다 자신을 잃을 가능성
- 재능: 열정, 감사, 헌신
- 다른 이름: 연인, 친구, 열정가, 감각주의자, 배우자, 팀 빌더의도치 않은 부정적 결과
- 전략: 비전을 개발하고 그것에 따라 살아가기
- 약점: 조작적인 성향으로 변질될 가능성
- 재능: 상생(win-win) 해결책을 찾는 능력
- 다른 이름: 비전가, 촉매자, 발명가, 카리스마적 리더, 주술사, 치료사, 연금술사
- 예시 캐릭터: 바비 (Barbie, 2023)
⚬ 바비는 관계와 감정을 중시하며, 자신과 세상, 사람들을 사랑하는 방법을 배워나가는 캐릭터이다.
⚬ 자신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타인과 연결되고 사랑을 나누려는 모습이 사랑꾼 원형과 부합한다.
5. 광대 (The Jester)
- 좌우명: "인생은 한 번뿐이다"
- 핵심 욕망: 순간을 온전히 즐기는 것
- 목표: 세상을 밝게 만들고 즐겁게 사는 것
- 가장 큰 두려움: 따분하거나 다른 사람을 지루하게 만드는 것
- 전략: 놀이, 유머, 장난을 활용하는 것
- 약점: 가벼움, 시간 낭비
- 재능: 기쁨과 유쾌함
- 다른 이름: 익살꾼, 트릭스터, 농담꾼, 실용적 장난꾼, 코미디언
- 예시 캐릭터: 데드풀 (Deadpool, 2016)
⚬ 유머와 장난을 무기로 사용하며, 전통적인 영웅의 모습과는 차별화된 안티 히어로.
⚬ 진지한 순간에도 가벼운 태도를 유지하지만, 그 속에서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이 광대 원형과 부합한다.
6. 범인 (凡人, The Everyman)
- 좌우명: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창조되었다"
- 핵심 욕망: 다른 사람들과 연결되는 것
- 목표: 공동체 속에서 소속감을 느끼는 것
- 두려움: 배제당하거나 군중 속에서 튀는 것
- 전략: 일반적인 미덕을 기르고, 현실적이며, 평범한 감각을 유지하는 것
- 약점: 무리 속에 섞이기 위해 자신을 잃거나, 피상적인 관계에 집착하는 것
- 재능: 현실감각, 공감, 가식 없음
- 다른 이름: 좋은 이웃, 평범한 사람, 실용주의자, 근면한 노동자, 성실한 시민, 조용한 다수
- 예시 캐릭터: 피터 파커(Spider-Man: Into the Spider-Verse, 2018)
⚬ 평소 피터의 가장 큰 고민의 자신의 히어로로서의 정체가 탄로나는 것이다. 그만큼 그는 자신의 일반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지키며 가족과 친구들 사이에서 평범하게 살고 싶어한다.
⚬ 그는 영웅이지만 일반적인 시민과 같은 문제(경제적 어려움, 실연 등)를 경험하며, 의무와 개인적인 삶 사이에서 갈등하며 성장한다.
III 체계 구축형(Provide Structure)
7. 양육자 (The Caregiver)
- 좌우명: "네 이웃을 네 몸처럼 사랑하라"
- 핵심 욕망: 타인을 보호하고 돌보는 것
- 목표: 다른 사람을 돕는 것
- 가장 큰 두려움: 이기적인 행동과 타인의 배은망덕
- 전략: 타인을 위해 봉사하는 것
- 약점: 순교자적 태도, 타인에게 이용당할 가능성
- 재능: 연민과 관대함
- 다른 이름: 성자, 이타주의자, 부모, 도우미, 지지자
- 예시 캐릭터: 알프레드 페니워스 (The Batman, 2022)
⚬ 알프레드는 브루스 웨인(배트맨)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캐릭터로, 물리적인 보호뿐만 아니라 정서적, 정신적인 보호자 역할도 한다.
⚬ 자신을 희생하면서도 끝까지 브루스 보살피는 모습이 보호자 원형과 일치한다.
8. 지배자 (The Ruler)
- 좌우명: "권력은 전부가 아니라 유일한 것이다"
- 핵심 욕망: 통제
- 목표: 번영하고 성공적인 공동체 창조**
- 가장 큰 두려움: 혼란과 전복
- 전략: 권력을 행사하고 체계를 구축하기
- 약점: 독재적 태도, 권한 위임 실패
- 재능: 책임감, 리더십
- 다른 이름: 상사, 지도자, 귀족, 왕, 여왕, 정치가, 롤모델, 관리자, 행정가
- 예시 캐릭터: 네이머 (Black Panther: Wakanda Forever, 2022)
⚬ 네이머는 자신의 왕국 탈로칸을 보호하고 번영시키려는 강력한 지도자이다.
⚬ 권력을 행사하면서도 자신의 민족을 위해 전략적으로 움직이는 모습이 Ruler 원형과 부합한다.
9. 창조자 (The Creator/Artist)
- 좌우명: "상상할 수 있다면 실현할 수 있다"
- 핵심 욕망: 지속적인 가치를 지닌 창조물을 만드는 것
- 목표: 비전을 실현하는 것
- 가장 큰 두려움: 평범한 창의력, 미완성된 작품
- 전략: 예술적 통제력과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
- 약점: 완벽주의, 비효율적인 해결책
- 재능: 창의력과 상상력
- 다른 이름: 예술가, 발명가, 혁신가, 음악가, 작가, 몽상가
- 예시 캐릭터: 로켓 라쿤 (Guardians of the Galaxy Vol. 3, 2023)
⚬ 로켓은 천재적인 발명가이자 창의적인 전략가로, 기술적 창조 능력을 통해 팀을 돕는다.
⚬ 자신만의 방식으로 세상을 변화시키는 창의성과 독창성이 Creator 원형과 부합한다.
IV 영성 탐구형 (Explore Spirituality)
10. 순수한 자 (The Innocent)
- 좌우명: "있는 그대로의 너와 나로 자유롭게"
- 핵심 욕망: 이상향(낙원)에 도달하는 것
- 목표: 행복해지는 것
- 두려움: 잘못된 행동으로 인해 벌을 받는 것
- 전략: 올바른 일을 하는 것
- 약점: 순진함으로 인해 지루하거나 현실 감각이 부족할 수 있음
- 재능: 신뢰(믿음)와 낙관주의
- 다른 이름: 이상주의자, 전통주의자, 순진한 사람, 신비주의자, 성인(聖人), 낭만주의자, 몽상가
- 예시 캐릭터: 미라벨 마드리갈 (Encanto, 2021)
⚬ 미라벨은 가족 내에서 유일하게 마법 능력이 없어 따돌림을 받기도 하지만,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며 행복을 찾으려 한다.
⚬ 그녀는 희망과 낙관주의를 바탕으로 공동체를 연결하려는 순수한 마음을 가진 캐릭터이다.
11. 탐험가 (The Explorer)
- 좌우명: "나를 가두지 마라"
- 핵심 욕망: 자유롭게 세상을 탐험하며 자신을 발견하는 것
- 목표: 더 나은, 더 진정성 있고, 더 충만한 삶을 경험하는 것
- 가장 큰 두려움: 갇히는 것, 획일성, 내적 공허함
- 전략: 여행하고, 새로운 것을 경험하며, 따분함에서 벗어나기
- 약점: 방향성을 잃고 방황하거나 사회 부적응자가 될 가능성
- 재능: 자율성, 야망, 자기 진실성
- 다른 이름: 구도자, 개혁가, 방랑자, 개인주의자, 순례자
예시 캐릭터: 모아나 (Moana, 2016)
⚬ 자신이 누구인지 찾기 위해 모험을 떠나는 캐릭터로, 바다를 탐험하며 새로운 삶을 경험한다.
⚬ 두려움을 극복하고 스스로의 정체성을 찾으며 성장하는 모습이 탐험가 원형과 일치한다.
12. 현자 (The Sage)
- 좌우명: "진리가 너를 자유롭게 하리라"
- 핵심 욕망: 진리를 찾는 것
- 목표: 지성과 분석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는 것
- 가장 큰 두려움: 무지, 속임수에 당하는 것
- 전략: 지식 탐구, 자기성찰
- 약점: 분석에 몰두하다 실행하지 못하는 것
- 재능: 지혜, 지성
- 다른 이름: 학자, 탐정, 철학자, 연구자, 멘토
- 예시 캐릭터: 프로페서 X (Charles Xavier) (2022)
⚬ 교수 X는 지혜와 분석력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을 이끄는 멘토 캐릭터이다.
⚬ 진실을 탐구하며, 지식을 통해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고자 하는 모습이 Sage 원형과 일치한다.
마치며
마지막으로 앞선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프로이트: 인간 심리를 성적 욕망과 억압된 본능을 중심으로 설명. 융: 집단적 무의식과 원형적 요소를 강조하여 더 보편적으로 접근.
- 원형: 집단적 무의식 속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심리적 패턴. 신화는 이러한 원형이 구체적으로 표현된 문화적 산물이다.
- 융은 신화와 임상을 통해 집단적 무의식을 탐구했고, 인간의 보편적인 심리 구조를 반영하여 쉽게 독자들의 공감을 살 수 있는 12가지 원형 등을 만들었다.
융의 심리학 이론은 이렇게 스토리텔링, 캐릭터 창작, 영화 및 문학 연구에서 강력한 틀을 제공하며, 원형적 캐릭터는 독자와 관객의 본능적 공감을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컨텐츠 분석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컨텐츠 분석]캐릭터와 스토리 1-3: 신화 속 남성 영웅들을 바탕으로 재해석한 애니메이션 캐릭터들 (0) | 2025.01.31 |
---|---|
[캐릭터와 스토리] 신화와 캐릭터 1-2: 그리스 로마 12신으로 나눈 캐릭터 유형 ⓵6명의 여성 캐릭터들 (1) | 2025.01.30 |
[컨텐츠 분석]캐릭터와 스토리 1-3. AI와 빅데이터의 시대에 신화가 주는 메세지 (0) | 2025.01.29 |
[컨텐츠 분석]캐릭터와 스토리 1. 현대 영화와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원형적 서사 (0) | 2025.01.28 |
[캐릭터와 스토리] 0. 픽사가 매력적인 캐릭터를 만드는 방법 (0) | 2025.01.22 |